가끔 아이들이나 부모님들이 아이의 고환이 크다면서 내원하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그 중 오늘은 대표적 질환인 음낭 수종(물음낭증)에 대하여 기술하고자 합니다. 물음낭증은 음낭병 중 대표적인 병으로 고환 또는 정삭을 따라 고환집막 이라는 고환의 막 내에 장액성 액체가 고이는 병으로 발생하는 원인에 따라 유아에서 발견되는 경우와 성인에서 발생하는 경우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유아에서 발견되는 경우는 복막의 일부로서 고환이 하강을 마친 후 닫히는 고환집돌기의 발생학적 잘못에 의합니다. 닫힘 여부 및 위치에 따라 고환이 내려오는 길에 다양한 위치에서 덩어리 형태로 관찰되며, 대표적인 위치에 따라서 소아에서 발생하는 음낭증은 크게 단순 물음낭증, 열린물음낭증 및 물정삭증으로 구분 할 수 있습니다. 단순 물음낭증은 고환집돌기가 지속되거나 늦게 닫혀 고환집 안에 수액이 갇혀서 발생하는데 출생 시에 보이고 흔히 양쪽에서 관찰된됩니다. 또한 통증은 없으며 대부분 생후 2년 내에 소실하므로 그때 까지 관찰 할 수 있습니다. 열린물음낭증은 고환집돌기가 계속 열려 있어 복수가 음낭까지 자유롭게 드나드는 것을 말하며 활동에 따라 크기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 흔히 말하는 서혜부위 탈장이 같이 발생할 수도 있고. 고환이 제대로 하강하지 않는 잠복고환증 과의 감별도 중요합니다. 이 질환은 수술적인 치료이외의 해결 방법은 없습니다. 임상적으로 한쪽에서만 열린물음낭증이 별견되면서 반대쪽 고환집돌기도 열려있는 경우가 많은데, 나이가 어릴수록 가능성이 높습니다. 또한 한쪽을 수술한 아이의 5 ~ 20%에서 반대쪽에 열린물음낭증이 발견된다. 물정삭증은 고환집돌기가 부분적으로 닫혀 정삭 일부에서 수종이 국한적으로 발생하는데 경우에 따라 복막 안과 연결된 열린 것도 있을 수 있습니다. 대개 이러한 경우 통증은 발생하지 않으며, 같이 발생하는 고환이나 서혜부위의 여러 질환 등과 감별을 위해서 초음파 검사 등이 필요할 수도 있습니다. 40대 이후의 성인에서 발생하는 물음낭증은 소아에서 발생하는 고환집돌기와 상관없이 고환집 내에서 액체 분비와 흡수와의 불균형으로 발생하며, 다른 질환에 의한 합병증으로 발생할 수도 있지만 대부분 원인을 알 수 없는 경우가 많습니다. 어린이와 성인에게서 이와 같은 증상이 있을 때는 비뇨기과에서 검사와 진료가 꼭 필요합니다. 천안 이에스길비뇨기과비뇨기과 전문의 최민호 원장